본문 바로가기

클라이밍체험3

클라이밍 체험 : 가격/복장/준비물 최근 늘어나는 실내 클라이밍 센터는 볼더링 (로프나 보조장치 없이 벽을 오르는 종목) 암장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가장 접근성이 좋은 종목이기 때문에, 오늘 내용도 볼더링 암장을 중심으로 구성해 보았다.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고 있지만 클라이밍은 엄연한 익스트림 스포츠이다. 물론 매트가 잘 깔려있지만 그럼에도 예외는 아니다. 매트는 충격을 완화해 줄 뿐이지, 안전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 낙법이나 기본자세, 에티켓등을 모르는 상태로 등반한다면, 나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안전도 위협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클라이밍을 시작한다면, 약 한 시간 정도의 강습을 포함한 일일 체험이나 초급반 강습등을 신청하라는 말을 하고 싶다. 아래는 클라이밍 체험을 받으려는 사람들을 위해 가격, 클라이밍 복장, 준비물 등.. 2024. 1. 13.
클라이밍 기초 2 : 클라이밍 홀드와 그립법 실내 클라이밍 센터 벽에 붙어있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손잡이들을 홀드라고 한다. 손으로 잡기도 하고, 발로 밟아 몸을 지탱하기도 한다. 무릎이나 발뒤꿈치 혹은 발등을 걸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초반에는 다양한 홀드들을 잡아보며 어느 부분이 마찰력이 좋고, 잡기 쉬운지에 대한 감을 익히는 것이 좋다. 잡는 방향과 그립법을 이해하고 등반하는 것은 초보자 실력 향상에도 큰 도움을 준다. 같은 종류의 홀드로 분류되어도, 각각 크기, 모양, 재질 등이 다르기 때문에 그립법에 정답은 없다. 핀치 홀드를 방향에 따라 크림프 그립으로 잡기도 하고, 슬로퍼 홀드를 상황에 따라 핀치 그립으로 잡기도 한다. 홀드와 그립법의 기초를 이해하고, 여러 상황에 대입시켜 등반하자. 홀드 종류 1. 저그 (Jug) 크게.. 2024. 1. 12.
클라이밍 기초 1 : 리드, 볼더링, 스피드 스포츠클라이밍(암벽등반)은 체력과 기술을 활용하여 가파른 벽을 오르는 스포츠이다. 이전에는 자연암벽을 오르며 스포츠를 즐기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접근성이 좋은 실내 클라이밍 센터가 늘어나며, 야외 등반보다는 실내 등반으로 스포츠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다. 위험도가 높은 운동이지만, 그만큼 성취감이 높아서 취미로 시작하는 사람들은 점차 늘고 있다. 클라이밍을 시작하는 단계라면, 클라이밍의 기본 지식에 대해 이해하고 입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처음 클라이밍을 접한 사람들은 ’빨리 올라가는 게 좋은 건가?‘ 혹은 ’높이 올라가는 게 좋은 건가?‘ 같은 궁금증을 가지는데, 모두 어느 정도 정답이라고 볼 수 있다. 클라이밍은 리드 클라이밍, 볼더링, 스피드 클라이밍 크게 3종류로 나뉘고, 각자 겨루는 방식이.. 2024. 1. 11.